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의 유효 범위라는 것은 함수 안에서 선언된 모든 변수는 함수 전체에 걸쳐 유효하다는 의미입니다.
그런데 이 유효 범위의 적용이 변수가 선언되기 전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.
이러한 자바스크립트의 특징을 함수 호이스팅( hoisting )이라고 합니다.
즉, 자바스크립트 함수 안에 있는 모든 변수의 선언은 함수의 맨 처음으로 이동된 것처럼 동작합니다.
- 예제
var globalNum = 10; // globalNum을 전역 변수로 선언함.
function printNum() {
document.write("지역 변수 globalNum 선언 전의 globalNum의 값은 " + globalNum + "입니다.<br>"); // ①
var globalNum = 20; // globalNum을 지역 변수로 선언함. // ②
document.write("지역 변수 globalNum 선언 후의 globalNum의 값은 " + globalNum + "입니다.<br>");
}
printNum();
위의 예제 ①의 시점에서는 변수 globalNum가 전역 변수를 가리킨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.
하지만, 자바스크립트 내부에서는 함수 호이스팅에 의해 다음과 같이 코드가 변경되어 처리됩니다.
var globalNum = 10;
function printNum() {
var globalNum; // 함수 호이스팅에 의해 변수의 선언 부분이 함수의 맨 처음 부분으로 이동됨.
document.write("지역 변수 globalNum 선언 전의 globalNum의 값은 " + globalNum + "입니다.<br>");
globalNum = 20;
document.write("지역 변수 globalNum 선언 후의 globalNum의 값은 " + globalNum + "입니다.<br>");
}
printNum();
위의 예제 ①의 시점에서는 globalNum라는 지역 번수가 선언만 되어 있고, 아직 초기화만 안 된 상태입니다.
따라서 이때 globalNum 변수에 접근하면 아직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에 접근했으므로, undifined 값을 반환하게 됩니다.
실제로 변수가 초기화되는 시점은 원래 코드에서 변수가 선언된 ②의 시점입니다.
- 자바스크립트에서는 함수 호이스팅이 자동으로 수행되지만, 항상 함수 블록의 첫 부분에 변수를 선언하는 것이 좋습니다.
참조
http://tcpschool.com/javascript/js_function_functionScope
코딩교육 티씨피스쿨
4차산업혁명, 코딩교육, 소프트웨어교육, 코딩기초, SW코딩, 기초코딩부터 자바 파이썬 등
tcpschool.com
'Web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script] DOM 요소 (0) | 2021.07.19 |
---|---|
[Javascript] Document 객체 (0) | 2021.07.19 |
[Javascript] DOM 개념 (0) | 2021.07.19 |
[Javascript] Javascript 인코딩 (0) | 2021.07.19 |
[Javascript] JSON 기초 (0) | 2020.12.11 |